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Portfolio Visualizer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는 백테스팅 프로그램이다. 백테스팅이란 투자 알고리즘을 과거의 데이터로 검증하는 것이다. 앞으로 x라는 투자전략을 따르려고 했을 때, 과거에 x대로 투자했다면 얼마나 벌고 잃었을지 테스트해보는 것이다.
Portfolio Visualizer
Monte Carlo Simulation Run Monte Carlo simulations for the specified portfolio based on historical or forecasted returns to test long term expected portfolio growth and survival, and the capability to meet financial goals and liabilities. Monte Carlo Simul
www.portfoliovisualizer.com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내의 자체 데이터는 미국시장 것이다. 한국시장 데이터가 있다면 업로드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게 첫 화면이다. 다른 기능들도 많지만 나는 형광펜을 친 것만 사용한다. Backtest Asset Allocation을 눌러서 들어가 보면 다음 화면이 뜬다.
여기서 조작할 것은 크게 6가지이다. 순서대로 보면 다음과 같다.
1. Start Year, End Year : 백테스팅 기간을 정하는 칸이다. 만약 2000년도에 S&P 지수에 투자해서 지금까지 가지고 있었으면 어떨지 테스트한다고 가정을 하면, Start Year에 2000년도를 넣고 End Year에 가장 최근 날짜를 넣으면 된다.
2. Initial account : 초기 시작 자금을 정하는 칸이다. 자유롭게 입력하면 된다.
3. Cashflows : 현금흐름을 정하는 칸이다. 포트폴리오에 정기적으로 돈이 들어오는 상황을 설정할 때 쓴다. 예를 들어, 2000년도부터 월 10만 원씩만 S&P에 넣는 포트폴리오를 구현하려고 한다면, Cashflows에 100$ monthly를 입력하면 된다.
4. Rebalancing : 리밸런싱 주기를 설정하는 칸이다. 리밸런싱에 대해서는 아래 글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4)리밸런싱 항목 참조
2020/11/18 - [투자] - 투자에 대한 생각 - 3편. 영구 포트폴리오의 작동 원리
투자에 대한 생각 - 3편.영구 포트폴리오의 작동 원리
영구 포트폴리오의 작동 원리 1)미래를 예측하지 않는 것 영구 포트폴리오에 메인이 되는 아이디어이다. 필자가 계속 주장했듯이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렇지만 미래를 구
thefort.tistory.com
5. Benchmark : 기준이 되는 지수이다. 보통 미국 주식 시장 지수를 많이 넣는다. 내가 구성한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시장대비 얼마나 좋았나 알아볼 때 쓴다.
6. Asset Allocation : 이부분이 하이라이트이다. Asset Class로 자산군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오른쪽 칸에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제 영구포트폴리오를 예시로 돌려보자.
1972-2020 현재까지 테스트하고 초기 자금은 만 달러이다. 리밸런싱은 annually(매년)으로 설정했고 벤치마크는 Vanguard 500(미국 주식 시장 지수를 추종한다)으로 설정했다. 자산군은 미국 주식시장, 미국 재무부 장기채, 미국 재무부 단기채, 금으로 25%씩 비중을 줬다. 분석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하나씩 살펴보자
위의 경고문이 떳다. 장기채에 대한 데이터가 1978에서 올 10월 것 밖에 없어서 그 기간만 테스트했다는 뜻이다. 아래 그림은 처음에 설정한 투자 비중을 보여주는 것이다.
윗칸은 우리가 테스트한 영구 포트폴리오에 대한 정보이고, 아래는 벤치마크의 정보이다. Final Balance부터 보면, 1978년에 만 달러를 투자했을 때, 영구 포트폴리오는 약 36만 달러까지 불어났고 벤치마크는 약 100만 달러까지 불어났다. 왜 이런 차이가 났는지 알기 위해서는 옆에 CAGR을 보면 된다. 영구 포트폴리오는 8.71% 벤치마크는 11.44%이다. 약 3% 차이인데도 복리의 마법이 작용하니까 최종 결과는 3배 차이로 벌어졌다. 이렇게만 보면 굳이 영구 포트폴리오를 하나 싶지만 진가는 다음 칸부터 나오나.
Stdev는 표준편차인데 쉽게 생각해서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벤치마크가 영구포트폴리오의 두 배이다. 그래서 Worst Year, 최악의 해에 영구 포트폴리오는 고작(?) 전년도 대비 5퍼센트를 잃었지만 벤치마크는 37%를 잃었다. 또한 옆의 Max.Drawdown은 포트폴리오의 최대 낙폭을 의미한다. 제일 많이 떨어졌을 때가 영구 포트폴리오는 13% 이지만 벤치마크는 50%가 넘는다. 50%의 폭락을 회복하고 최종 스코어는 100만 달러가 넘어가기는 하지만, 50% 빠지는 동안 안 팔고 버티는 사람이 있을까 싶다. 그 뒤는 포트폴리오의 저변동성에 대한 지표들인데 나중에 다른 글에서 다루려 한다.
그 아래는 포트폴리오의 성장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파란 것이 영구포트폴리오이다. 완만하니 보기 좋다.
연도별 얼마나 수익을 거뒀는지 보여주는 지표이다. 영구포트폴리오(파란색)이 안정적인 것을 볼 수 있다.
여기까지가 Return과 관련된 항목을 살펴본 것이고 그 외에도 몇 가지 더 체크해 볼 것이 있다.
2020/11/23 - [투자] -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로 자산배분 테스트하는 법 - 1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로 자산배분 테스트하는 법 - 1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Portfolio Visualizer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는 백테스팅 프로그램이다. 백테스팅이란 투자 알고리즘을 과거의 데이터로 검증하는 것이다. 앞으로 x라는 투자전략을 따
thefort.tistory.com
2020/11/28 - [분류 전체보기] -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로 자산배분 테스트하는 법 - 2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로 자산배분 테스트하는 법 - 2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Annual Returns 다음으로 살펴볼 부분은 Annual returns이다. 여기서는 다음과 같은 표를 볼 수 있다. 각 자산이 연 단위로 얼마나 오르고 떨어졌는지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thefort.tistory.com
'투자 > 자산배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에 대한 생각 - 5편. 코스피 3000 (0) | 2021.01.19 |
---|---|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로 자산배분 테스트하는 법 - 2 (0) | 2020.11.28 |
투자에 대한 생각 - 4편. 영구포트폴리오 한국버전 백테스팅 (0) | 2020.11.19 |
투자에 대한 생각 - 3편.영구 포트폴리오의 작동 원리 (0) | 2020.11.18 |
투자에 대한 생각 - 2편.자산배분 투자에 대한 생각 (0) | 2020.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