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헬스케어(최윤섭)]에서 유전 정보 분석을 다룬 부분을 읽다가 억울한 생각이 들었다. 학교에서 유전학 수업을 듣고 시험까지 봤는데도 용어도 헷갈리고 원리도 알쏭달쏭 하다니, 너무 슬펐다. 이 기회에 확실히 정리하고 가기로 했다.
용어정의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대규모 병렬 시퀀싱 기술
-NGS는 '기술'이라는 점에 주목하자.
WGS
-Whole Genome Sequencing
-개인의 유전정보 전체 서열을 분석하는 것
-WGS를 하는 방법 중 하나가 NGS다.
WES
-Whole Exome Sequencing
-Exome만 분석하는 것.
-Exome은 Exon의 총합을 뜻한다.
-Exon은 Intron에 대비되는 개념. DNA 염기 서열 중 단백질의 구성정보를 담고 있다.
SNP genotyp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Genotyping
-SNP : DNA 서열 중 한글자가 다른 것
NGS의 원리
NGS는 단일의 기술을 지칭하는 용어가 아니다. 초기에 사용됐던 시퀀싱 방식인 Sanger-Sequencing의 Next Generation 기술들의 총칭이다.
이 중에 sequencing-by-synthesis가 가장 많이 쓰인다. 그래서 보통 NGS라고 하면 이 방식을 의미한다. NGS 과정을 잘 보여주는 모식도를 가져와봤다. 사진 아래 주석으로 설명을 달았다.
식품의약품 안전평가원에서도 일루미나 장비에 대해 다뤘는데, 같이 보면 이해하기 편할 것 같아서 모식도를 가져왔다.
참고 문헌
Muzzey, Dale, Eric A. Evans, and Caroline Lieber. "Understanding the basics of NGS: from mechanism to variant calling." Current genetic medicine reports 3.4 (2015): 158-165.
식품의약품 안전평가원,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반 유전자 검사의 이해"
'사업 > 의료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헬스케어 #2. 빅데이터란 무엇인가? (0) | 2021.05.11 |
---|---|
디지털 헬스케어 #1. 어디서부터 공부해야 할까? (0) | 2021.05.08 |
우울증(디지털 표현형) (0) | 2021.01.14 |
비접촉 체온계는 원리가 뭘까? (0) | 2021.01.09 |
150대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0) | 2021.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