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ast wealthy
  • 투비리치
사업/의료산업

디지털 헬스케어 #1. 어디서부터 공부해야 할까?

by FORT98 2021. 5. 8.

 의료계 종사자가 아니라도 뉴스 좀만 보면 디지털 헬스케어가 성장하는 산업이라는 것은 알 수 있다. 나는 관련 사업을 하든 투자를 하든,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 대해 제대로 된 공부를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교과서가 있는 것도 아니었고, 기사나 유튜브만 보면서 배우기에는 지식이 체계적으로 쌓이지가 않는 느낌이었다.

 

 그러던 중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글로벌 헬스케어 마켓"이라는 제목으로 발간한 보고서가 눈에 들어왔다. 시장 규모와 시장 트렌드에 대한 분석이 보고서에 포함되어 있었다. 앞으로 공부해 나가야 할 부분에 대한 청사진이 되겠다고 생각했다. 

원문 링크 : GIP :: 글로벌ICT포털 (globalict.kr)

목차

    산업현황

     디지털 헬스케어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21%의 성장을 기록했다. 산업 투자규모는 2018년 기준 146억 달러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동향

    -신기술에 힘입어 더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에 영향을 미칠 기술에 대해 시장조사기관 프로스트 앤 설리번(Frost&Sullivan)이 헬스케어 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했다.

    <향후 헬스케어 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기술>

    빅데이터(31%), 인공지능(24%), 모바일 헬스케어(15%), 웨어러블 디바이스(10%), 클라우드(6%), 의료 로봇(5%), 3D 프린팅(3%), 블록체인(2%), 증강현실(1%), 기타(3%)

     

    -5G는 기기 대기 시간을 0.002초까지 줄인다

     

    -빅데이터는 2025년까지 규모 5배 증가가 예상된다. 활용 분야는 고위험군 환자 치료와 환자의 건강 추적, 개인의 건강관리 등 매우 다양하다.

    <빅데이터 도입으로 기대되는 효과>

    효과적인 환자 건강 추적 : 질병 방지, 응급 상황에서도 빠르게 대처

    오진율 감소 : 환자의 History에 더 쉽게 접근. 잘못된 약이나 환자에게 맞지 않는 약을 처방하는 실수를 줄일 수 있음

    비용절감 : 의료기관의 예산 손실은 보통 예약 건수에 따른 인건비 초과 등으로 인해 발생. 빅데이터를 활용해 환자의 내원이나 입원율을 예측하여 의료진을 배치-> 비용절감

    모바일 헬스케어 산업 동향

    -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59%에 이를 전망

    - 가장 많이 활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피트니스 관련 앱

    - 피트니스 관련 앱 : 이용자 건강 관리. 운동 계획과 기록 저장에서부터 건강관리에 대한 조언까지 제공

    원격의료 산업 동향

    -원격의료 도입률은 계속해서 증가할 전망

    -환자의 의료비용과 의료기관의 운영비용 절감 효과 기대

    - 미국 내 원격의료 1회당 평균 비용 은 38달러로, 대면의료 1회당 평균 비용인 114달러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전자 의무기록(EMR/EHR)산업 동향

    -메디컬 이코노믹스(Medical Economics)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미국 시장에서 EMR/EHR 도입 비율은 86%에 육박

    -EMR/EHR 시장 성장 위해서는 정보보안이 무엇보다 중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