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ast wealthy
  • 투비리치
투자

생산자물가지수(PPI)란 무엇인가?

by FORT98 2021. 6. 21.

생산자물가지수, PPI는 Producers Price Index의 약자다. 이번 글에서는 PPI의 정의와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산정방법은 간단히만 알아보자.

생산자물가지수의 정의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 생산자가 국내(내수)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의 가격 및 서비스의 요금을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를 고려하여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 수준을 지수화한 통계를 말한다.

출처 : 사전식보기>통계용어및지표>통계이해 (kostat.go.kr)

생산자물가지수 산정법

우선 조사대상품목 선정을 거친다. 모든 물건의 가격을 다 조사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표적인 품목들을 고르는 것이다. 선정기준으로는 크게 '1) 생산자가 얼마나 팔았느냐'와 '2)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얼마나 가격을 살피기가 용이한가'가 있다.

 

1) 생산자물가지수는 생산자가 기준이다. 소비자가 얼마나 샀는가를 보는 소비자물가지수와는 다른 포인트다. 생산자가 많이 판 물건일수록 조사대상품목에 선정되기 용이하다.

2) 지수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준이다. 예를 들어, 10년동안 가격이 같은 물건이 조사대상품목으로 선정되면 물가지수가 왜곡될 것이다.

 

1)과 2) 기준을 통과한 상품 부문 781개, 서비스 부문 103개 등 총 884개 품목 조사 이뤄진다. 최종적으로는 각 품목에 가중치를 부과해 계산한다. 판매된 양이 많을수록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받는다.

생산자물가지수의 의미 - 소비자물가지수와의 관계

생산자 물가지수가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는, 월 중 인플레이션 관련 지수로는 제일 먼저 발표된다는 것이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경기동향 판단지표, GDP 디플레이터 등으로 활용된다.

 

또한 생산자물가로 2~3개월 뒤의 소비자물가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주목받는다. 이는 생산자 비용 증가가 소비자가에 영향을 미쳐 물가 상승을 일으킬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보통 생산자물가 상승은 2~3개월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연결된다.

생산자물가지수 조회하기

한국 PPI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index.go.kr)

 

미국 PPI

Producer Price Index (PPI) (bls.gov)

Next Release에서 다음 발표 예정일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PPI 동향은 Latest PPI Releases에서 확인 가능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