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S 활용
특정 분야에 전문가거나 전업 투자자인 경우, 해당 산업과 개별기업에 대한 분석과 전망을 바탕으로 종목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인 투자자들은 각자의 생업으로 바쁘다. 깊게 파고들어서 공부하고 분석할 시간과 여유가 없다. 프로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종목에 접근해야한다.
필자는 증권사 HTS의 스크리닝 시스템을 적극 활용할 것을 추천한다. 각 증권사별로 다양한 스크리닝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는 미래에셋대우의 KAIROS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코드에 0544를 입력하면 종합종목검색이 뜬다. 여기서 필터링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https://www.miraeassetdaewoo.com/oms/omsclient.do?n=K001
미래에셋대우
www.miraeassetdaewoo.com
위 주소에서 검색창에 0544를 검색하면 상세한 사용설명서가 나온다.
필터링 기준
두 가지를 추천하고 싶다. NCAV 전략과 저PER+저PBR+저PCR+저PSR 전략 + 신-F 스코어. 필터를 이용하면 충분히 구현 가능하다. 각 전략에 대해서는 다른 글에서 상세히 다룰 예정이다. 여기서는 방법만 설명한다.
*주의 : 필터는 최종결산월 기준이다. 최종결산월에서 시점이 좀 지났다면, 현재 상태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
1.NCAV 전략
2단계 필터링으로 종목을 선정한다. 스크리닝과 가격 평가가 동시에 가능하다. 필터링을 거쳐서 남는 종목은 매매한다.
필터링 1
1)유동자산, 부채, 시가총액을 선택해 추가한다.
2)엑셀로 결과를 다운 받는다
3)엑셀 식을 이용해서 유동자산-부채>1.5*시가총액인 기업들만 남긴다.
4)홀딩스와 중국주식(종목코드 9로 시작)은 제외한다.
5)그럼 몇 종목 남지 않는다.
필터링 2
필터를 100퍼센트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진짜 NCAV에 해당하는지 공시자료를 보고 확인해야한다. 그리고 공시자료를 확인하면서, 유동자산에 대해 더 강한 기준을 적용한다.
<유동자산>
-현금 및 현금성 자산 100프로 인식
-매출채권 80프로 인식 or 충당률 반영
-재고자산 50~75프로 인식
이래도 시가총액 보다 값이 크다면 매수하면 된다. 유동자산이 빠르게 감소하는 추세의 기업과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이 위태로운 기업만 피하자. 1년에 한 번 재평가하고 리밸런싱한다.
2. 저PER+저PBR+저PCR+저PSR 전략 + 신-F 스코어
강환국씨의 책에 나온 전략 두 가지를 섞은 것이다. 다만 종목 선정에 재무평가가 필요하다. 재무평가 방법은 2편에서 다루고 여기서는 엑셀에 옮기는 것까지만 쓰겠다.
1)필터 설정
2)엑셀에 저장해서, PER, PBR, PSR, PCR에 대한 순위를 매긴다. 엑셀 기능을 적극 활용하자. 비율이 낮은 게 순위가 높은 것이다.
3)순위합이 적을 수록 저평가주라고 생각하고 차례대로 분석해간다. 재무건전성과 가격에 대해 분석한다.
재무 건전성과 가격분석은 2,3편에서 차례로 다룰 예정이다.
+)문제가 될까바 종목코드와 종목명은 가렸습니다. 종목선정에 대해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투자 > 투자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 – 투자 서적 리뷰 #1 (2) | 2021.05.30 |
---|---|
[실전 주식투자] 4. 엑셀 VBA로 가격평가 자동화 하기 (0) | 2021.02.11 |
[실전 주식투자] 3. 따라하기 쉬운 가격평가 방법 (0) | 2021.01.31 |
[실전 주식투자] 2. 재무제표를 빠르게 읽는 방법 (0) | 2021.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