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은 용어와의 싸움이다"라는 말이 있다. "블록체인 해설서"를 읽으면서 주요 용어의 정의를 정리했다. 아직 완독을 못해 미완성이다. 조금씩 추가할 예정이다.
블록체인 단어장(미완성)
ㄱ
공개키(public key) : 2쌍의 암호키 중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암호키. 공개키를 알아도 개인키를 알아 낼 수 없다.
궁극적 일관성(eventual consistency) : 특정 순간 각 노드가 서로 다른 블록체인 데이터를 지닐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동일한 데이터로 통일하는 성질.
깊이 : 블록이 얼마나 만들어졌는지 알아보는 지표.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블록의 깊이를 1로 잡는다. 깊이가 깊은 블록이 안정적이다.
개인키(private key) : : 2쌍의 암호키 중 자신만이 간직하는 키. 비밀키(secret key)라고도 한다. 개인키로부터 공개키를 도출해 낼 수 있다.
ㄴ
노드 : 네트워크를 그래프로 표현 했을 때 꼭짓점. 컴퓨터를 의미한다.
높이 : 블록을 지칭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 블록을 탑을 쌓는 것처럼 배열했다고 생각하고 제네시스 블록의 높이를 0으로 잡는다. 제네시스 블록 다음의 블록 높이는 1, 그 다음은 2,… 이런 식으로 증가한다.
ㄷ
디지털 자산 : 디지털로 기록 보관되는 것 중 권리 등이 포함 돼 있어 가치를 가질 수 있는 것들.
디지털화 : 모든 정보를 비트로 변환하는 작업.
디지털 화폐 : 유통 화폐를 디지털화 한 것.
대칭형 암호화 기법 :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방식.
ㄹ
ㅁ
머클트리(Merkle tree) : 해시 값으로 구성된 이진 트리 형태의 데이터 구조. 모든 트랜잭션을 짝지어 해시 값으로 만드는 것을 반복하면 최종적으로 하나의 해시 값(머클트리 루트)만 남는다.
미사용 출력(unspent transaction output) : 비트코인 수령 후 아직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블록에 남아 있는 항목들. 약자로 UTXO.
ㅂ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 모든 거래 내역서를 전체 노드에 무조건 알리는 방식. = 가십 프로토콜(gossip protocol)
블록(block) : 한꺼번에 처리하는 논리적 데이터 단위. 비트코인의 블록은 10분간 1MB 이내에서 담을 수 있는 거래 내역의 묶음을 뜻한다.
블록 해시(hash) : 블록을 특정할 수 있는 고유한 숫자.
블록 헤더 : 블록의 요약 정보를 담고 있다. 80바이트. 트랜잭션의 정보를 추적하는 것만 가능하다.
비동기화(asynchronous) 시스템 : 모든 동작을 지시하는 중앙 서버가 없는 시스템. 각 노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와 피어에게 전달받은 데이터만으로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비대칭형 암호화 기법 : 암호화와 복호화에 서로 다른 키를 쓰는 방식.
비트코인 주소 : 계정의 소유자를 증명해줄 수 있는 공개 암호키의 해시 정보가 들어 있다.
비트코인 지갑 : 비트코인을 사용하기 위한 최소한의 응용 프로그램.
ㅅ
사이퍼펑크(cypherpunk) : 암호화 기술을 활용해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극대화하려 했던 행동주의자
소프트포크 : 과거에는 유효하던 규칙을 무효화한 경우.
스마트 컨트랙트 : 적절한 프로그래밍을 통해 스스로 수행되는 계약
ㅇ
암호화폐 :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실험적 화폐
암호화(cryptographic) 해시 : 해시 함수 중 1.계산 용이성, 2.원상 회피, 3.두 번째 원상 회피, 4.충돌 회피를 모두 만족하는 해시 함수.
연쇄해시 : 현재 블록의 해시 값을 구하는 데 현재 블록의 블록 헤더 데이터와 이전 블록의 해시 값을 사용하는 방식.
완전 노드(full nod) : 전체 블록체인 데이터를 완전히 다운로드한 노드
이중 사용(double spending) : 하나의 비트코인을 여러 번 사용하려는 악의적인 시도
ㅈ
작업 증명(proof-of-work) : 나쁜 짓을 하려면 많은 자원을 소모하도록 해서 최대한 나쁜 짓을 억제하는 것. 비트코인의 작업증명은 해시 퍼즐의 정답을 찾는 것이다.
전자 서명 : 문서의 해시를 만들고 그 해시 값을 개인키로 암호화하는 과정.
지급 검증 노드 : 최소한의 정보만 다운로드한 노드. 블록의 헤더 정보만 다운로드해 저장하고 있는 노드다.
지분 증명 : 시스템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사람을 블록을 생성할 리더로 선정하는 것.
제네시스 블록 : 0번째 블록
ㅊ
체인(chain) : 블록들이 만들어진 시간 순서대로 정렬된 후 쇠사슬에 묶인 것처럼 늘어선 논리적 모습을 묘사하는 단어.
ㅋ
코인베이스(coin-base) 트랜잭션 : 블록의 보상금을 지불하는 트랜잭션. 모든 블록의 가장 첫 번째 트랜잭션은 코인베이스 트랜잭션이다.
ㅌ
탈중앙화 합의 : 서로 다른 두 블록체인이 충돌했을 때, 둘 중 하나로 통일하는 과정.
토큰(token) : 본래 모든 종류의 보상을 통칭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는 일반 명사
트랜잭션(transaction) :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 비트코인에서 트랜잭션은 비트코인을 주고 받는 거래가 발생하는 것이다.
ㅍ
피어(peer) : 직접 연결된 노드를 서로의 피어라고 표현한다.
ㅎ
하드포크 : 과거에는 무효하던 규칙을 유효화한 경우
해시 퍼즐 : 계산된 해시 값이 시스템에서 주어진 목푯값보다 작아지게 만드는 정수인 난스(nonce)를 찾는 과정. 가능한 모든 조합을 단순 반복해야만 난스를 찾을 수 있다.
해시 함수 : 입력 길이에 상관없이 항상 고정된 길이의 출력을 생성하는 함수.
S
SHA-256 :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쓰는 해시 함수. 항상 32바이트(256비트)가 출력된다. SHA는Secure Hash Algorithm의 약자다.
'사업 > 의료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헬스케어 #5. 인공지능 기초 지식 : 20문 20답으로 익히기(feat.가장 쉬운 AI 입문서) (0) | 2021.05.22 |
---|---|
디지털 헬스케어 #4 : 의료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0) | 2021.05.18 |
디지털 헬스케어 #3. 블록체인 기초 지식 : 7문 7답으로 익히기(feat.외계어 없이 이해하는 암호화폐) (0) | 2021.05.15 |
디지털 헬스케어 #2. 빅데이터란 무엇인가? (0) | 2021.05.11 |
디지털 헬스케어 #1. 어디서부터 공부해야 할까? (0) | 2021.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