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ast wealthy
  • 투비리치
사업/의료산업

디지털 헬스케어 #4 : 의료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by FORT98 2021. 5. 18.

 의료분야에서 블록체인이 주목받는 이유, 블록체인을 썼을 때 가능한 의료 데이터 생태계, 블록체인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 블록체인이 넘어야 할 한계 그리고 주요 서비스 모델 개발 예시에 대해 알아보자.

목차

    1. 블록체인이 주목받는 이유

     미래의료는 데이터 기반의 맞춤의료, 예측 의료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 데이터 열람, 유통이 지금보다 더 쉬우면서도 신뢰성과 보안성을 갖춰야 한다. 데이터의 개방성과 안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기술로 블록체인이 주목받고 있다.

    2. 블록체인을 썼을 때 의료 데이터 생태계

     

    블록체인 : 의료 데이터 생태계
    블록체인 : 의료 데이터 생태계

    1.의료기관이 블록체인에 정보 업로드

     (1)환자에게 의료서비스 제공

     (2)기존의 헬스 IT 시스템에 정보기록

     (3)API를 통해 Standard data field와 환자의 public ID가 blockchain으로 전송

     

    2. 트랜잭션 완료

     (1)스마트컨트랙트가 트랜잭션을 처리

     (2)환자의 public ID를 보유한 채로 각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저장

     

    3. 의료기관이 직접 블록체인에 요청

     (1)의료단체는 API를 통해 정보 요청

     (2)환자정보가 정확히 누구의 것인지는 모르는 상태로 열람 가능.

     (3)익명의 환자 정보는 연구 등의 목적으로 분석 가능

     

    4. 필요시에는 환자가 의료기관에 정보 제공

     (1)환자의 private key와 블록체인의 데이터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2)Private Key는 의료기관과 공유될 수 있다

     (3)Private Key로 의료기관은 특정 환자의 의료 데이터를 볼 수 있다

     (4)Private Key가 없다면 의료 데이터는 여전히 익명의 자료다

    3. 블록체인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

    1. 의료정보의 비대칭성

    2. 비효율적인 보험청구 과정 개선

    3. 의약품 공급망 모니터링

    4. 개인정보 유출

    4. 블록체인이 넘어야 할 한계

    1. 용량 : 블록 한 개당 담을 수 있는 데이터 양이 매우 한정적. 영상 데이터나 유전체 데이터를 담기에는 블록체인의 용량이 너무 적다.

     

    2. 보안 : 개인의 모든 정보를 블록체인에 실으면 오히려 보안이 약해질 수 있다. 온 체인 데이터와 오프 체인 데이터를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3. 데이터 표준화 : 데이터 유통을 위한 선결과제

    5. 주요 서비스 모델 개발 예시

    출처 : 보건산업진흥원

    블록체인명 설명
    MedRec 상호운영 가능한 전자건강기록 구현이 목적
    Gem Health 공유 ID 체계 구축 -> 약물 공급망, 자동차 보험, 사회기반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Mediledger 의약품 운반과 공급관리. 공급된 의약품을 식별 및 추적관찰
    HealthCoin 환자의 행동을 웨어러블 기술로 추적 관찰. 참여한 환자들에게 재정적 보상을 제공
    Shovom 환자의 게놈 데이터 저장 및 유통
    certon 여러 의료기관을 연계한 의료 제증명 문서의 발급 및 사용 이력 관리
    Medibloc 환자 개인이 직접 여러 의료기관에 분산된 자신의 의료정보를 통합 ,관리 및 유통을 할 수 있게 하는 블록체인 기술 개발
    Mygenomebox 개인에게 유전체 분석 제공, 데이터를 제약사 및 연구기관에 제공

     

    참고문헌

    1. 한현욱. "블록체인 기술의 의료분야 활용 현황 및 정책제언." KHIDI 전문가 리포트 (2018).

    2. 김경훈. "블록체인 기반 의료산업 혁신", KHIDI 전문가 리포트 (2018).

    댓글